With Jesus - 매일 묵상.

침묵 끝에 만나는 지존자. / 2021. 01.07. / 창세기 15장-17장

huuka 2021. 1. 7. 21:40

침묵은 침묵으로만 존재하지 않는다. 침묵은 역설적이게도 아우성을 동반한다. 이 아우성은 모든 이들에게 들려지지 않는다. 오로지 자신에게로 향한다. 자신에게만 들리는 내면의 아우성이 잠잠해질 때 우리는 지존자를 만나게 된다.
.
큰 민족을 이루게 하시겠다는 하나님의 언약은 모호하다. 도대체 어떤 방법으로 어느 때에 그것을 이루어주신다는 말인가? 더욱이 사래는 불임이다. 모호함 속에 아브람은 길을 떠났고 헤브론에 이르렀다. 아브람은 하나님께 묻는다. “주께서 내게 씨를 주지 않으십니다. 내게는 아들이 없습니다. 그러니 나의 상속자는 엘리에셀입니다.” (창 15:2) 이 말에 하나님께서는 단호히 말씀하신다. “엘리에셀은 너의 상속자가 아니다. 네 몸에서 날 자가 네 상속자가 될 것이다. “(창 15:4) 이 말씀에 아브람은 여호와를 믿었다. 또한 여호와 하나님께서는 이를 그의 의로 여기셨다. (창 15:6) 이후 그의 삶은 어떠했을까? 언약의 당사자로 참으로 신실하게 살았다. 경수가 끊어진 사래가 아브람의 씨로 아들을 낳을 일은 만무했다. 그럼에도 그녀 역시 남편을 통하여 큰 민족을 이루실 하나님의 약속을 기대했다. 그 당시 그곳의 풍습이 그러하듯 그들은 당연한 한 방법을 떠올린다. 사래의 여종을 통한 임신이다. 그들의 생각이 맞았던 것일까? 아브람이 사래의 여종 하갈과 동침하자 임신을 하게 된다. 하나님의 언약 성취의 기쁨을 누리기도 전에 두 여자 간의 불화가 시작된다. 아브람이 이스마엘을 낳은 86세로부터 99세에 이르기까지 성경은 그들의 삶과 하나님의 묵시에 침묵한다. 하지만 미루어 짐작할 수 있지 않을까? 두 여자와의 갈등 속에 아브람의 근심은 깊어만 갔으리라. 과연 하나님의 축복이란 이런 것일까? 두 여자의 갈등 속에 과연 큰 민족을 이룰 수 있을까? 아브람의 깊은 근심과 더불어 언약에 대한 불신과 불안이 안으로 쌓여만 가지 않았을까? 내면의 소리는 신뢰보다 불안, 근심의 소리가 크다. 내면의 소리는 처음 자리로 돌아가 다시금 자신을 보라고 명한다.
.
하나님을 향한 열심은 때로 나를 삼킨다. 하나님의 방법, 하나님의 때가 아님에도 나의 열심 으로 일을 성취하려는 조급함이 있다. 그 조급함은 불신이다. 그 당시의 당연한 문화가 그들의 선택에 고민을 안겨주지 않았다. 어쩌면 하나님의 언약을 쉽게 성취할 수 있는 눈에 보이는 길이었다. 하나님 언약에 대한 열심과 조급함은 사래로 하갈을 아브람에게 보내게 한다. 언약의 당사자인 아브람의 수동적 자세는 마음 깊숙이 자리한 불신이었다. 아브람은 13년 만에 나타난 하나님을 마주한다. 하나님은 “내가 사라에게 복을 주겠다. 그녀가 너에게 아들을 낳아 주리라. 그녀에게 복을 주겠고 그녀를 여러 민족의 어머니가 되게 하겠다. 민족의 여러 왕이 그에게서 날것이다.”(창 17:16) 드디어 하나님의 계시는 명확해졌다. 그러나 계시가 명확해졌다고 믿어지는 것은 아니다. 우습다. 하나님을 조롱한다. “백 세 된 사람이 어찌 자식을 낳을까? 사라는 구십 세니 어찌 출산하리오.”(창 17:17) 하나님께서는 그 비웃음대로 아들의 이름을 “이삭”이라 지으신다.
.
우리는 하나님의 뜻이 모호하기에 알 수 없어 실수하기 쉽다고 말한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그 계시가 주어진다고 해도 믿지 않는다. 불신이 깊이 박히고 하나님 대적하기를 좋아하는 우리의 본성인 것이다. 끊임없이 하나님께 아뢰고 그분을 가까이함이 그분을 신뢰하는 길이다. 조급함과 나의 앞선 열심히 나를 삼키려 할 때 오히려 멈추어 서서 하나님께 시선을 맞추어야 한다. 세상의 방법은 우리에게 익숙한 길이고 편한 길이다. 하나님의 일이 세상의 방법을 거스르는 모든 것은 아니라 할지라도 하나님의 길은 좁고 우리의 편리와 우리의 익숙함에 반하는 길임이 확실하다. “너는 내 앞에서 행하여 완전하라.”(창 17:1) 명하셨다. 오늘 우리는 전능한 하나님 앞에 완전하기 위하여 무엇을 버리고 어떤 길을 걸어야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