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강진 백운동별서정원 - 비밀의 정원.

huuka 2021. 11. 1. 21:43

위치 : 강진군 성전면 월하안운길 100-63

애기 손바닥 닮은 빨간 단풍이 보고 싶었다. 그걸 보지 못하면 제대로 된 가을이라 할 수 없지 않은가?
가을이 고르게 익어가고 있으니 이제는 그 얼굴을 보여줄 것도 갔다. 빨간 단풍을 만나기 위해 백운동별서정원으로 차를 몰았다. 이곳은 2번째 발걸음이다. 처음 발걸음을 했을 때 그 입구를 찾지 못했다. 넓은 차밭과 짙은 동백숲의 그늘은 쉬이 별서정원을 보여주지 않았다. 마치 신비에 쌓인 비밀의 정원처럼. 하지만 오늘은 기필코 그 비밀의 정원의 문을 열어보리라.

백운동 별서정원은 17세기 강진의 처사였던 이담로가 조성했다. 그가 말년에 자신의 둘째 손자와 함께 백운동에 들어온 이후 12대째 이어져 왔다. 하지만 백운동 별서정원은 다산 정약원을 떼놓고 이야기 할 수가 없다. 강진에 유배됐던 다산은 1812년 제자들과 월출산 산행에 나섰다가 하산길에 백운동 계곡을 지나다 100그루가 넘었다는 매화나무와 동백숲 등에 눈길을 빼앗겼다. 그리하여 다산의 일행은 숲 한가운데 터를 잡은 별서(別墅)에 반해 하룻밤 잠을 청하게 된다. 별서란 밥을 해먹으며 기거할 수 있는 일종의 별장의 역할을 하는 곳이다. 이곳에 마음을 뺏긴 다산은 백운동 풍경을 안팎으로 나눠 ‘백운동 12경’이라 이름 짓고 1경 옥판상기(월출산 옥판봉의 상쾌한 기운)부터 12경 운당천운(운당원에 우뚝 솟은 왕대나무)까지 시로 읊게 되는데 그 시들은 발걸음을 옮길 때마다 읽을 수 있도록 만들어 두었다. 또한 초의선사에게 백운동과 다산초당을 그리게 한 뒤, 이를 합쳐 ‘백운첩’(白雲帖)으로 남겼다. 이 백운첩은 별서 정원 복원시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개인 정원이라 하기에는 그 규모가 엄청나다. 산허리에 자리한 별서다보니 산 하나를 정원이라 불러도 틀리지 않을 듯하다. 별서를 두른 대나무밭이며 동백. 고스란히 세월을 견뎌온 나무들은 엄마품처럼 별서를 껴안고 있다.

기필코 보고야 말았다. 아가손을 닮은 빨간 단풍. 역시 가을은 노란 은행과 빨간 단풍이다. 초록나무들 사이의 붉은 단풍의 존재감은 단연 으뜸이다. 나야말로 가을의 얼굴이라는 듯이 온몸을 불태워 자신을 드러낸다. 적어도 자신을 드러내려 한다면 이정도 열정은 필요한 것 아닐까?

비밀의 문을 여니 원시림을 만났다. 태고적 신비가 고스란히 남아있는 곳. 비밀이 드러난 까닭일까? 주인은 어디고 사라지고 없다. 주인이 사라진 공간에 남겨진 공간은 적막을 부른다. 귓가를 스치는 바람에도 적요가 담긴다. 이렇게 가을이 깊어가는 구나. 먼 하늘에 한기가 서려 있다